를 포함하는 세 글자의 단어: 339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98개 세 글자: 339개 네 글자:423개 다섯 글자:164개 여섯 글자 이상:228개 모든 글자:1,353개

  • 망감 : (1)앞일에 대하여 어떤 기대를 가지고 바라는 마음.
  • 붉다 : (1)흰빛이 돌면서 붉다.
  • 오금 : (1)도가에서 다섯 짐승의 자세를 흉내 내어 신체의 여러 관절을 부드럽게 하여 혈액 순환이 잘되게 하는 양생법. 범ㆍ사슴ㆍ곰ㆍ원숭이ㆍ새 등의 자세를 본떴다.
  • 최정 : (1)소설가(1912~1990). 호는 담인(淡人). 초기에는 주로 개인의 문제를 고백적인 수법으로 그리다가 차츰 객관적 리얼리즘과 민족적 역사의식에 바탕을 둔 작품을 발표하였다. 작품에 <지맥(地脈)>, <인맥(人脈)>, <천맥(天脈)>, <인간사(人間史)> 따위가 있다.
  • : (1)아주 드물어서 특이하거나 매우 귀함.
  • : (1)말과 동작으로 여러 사람 앞에서 재주를 부리는 사람.
  • 장선 : (1)독립운동가(?~?). 3ㆍ1 운동이 일어나자 대한 애국 부인회를 조직하여 투옥된 애국지사들의 가족을 돕고 상하이 임시 정부와 연락하면서 독립운동을 벌였다.
  • 극계 : (1)희극에 관련된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활동 분야.
  • : (1)말장난으로 부르는 노래. 가볍고 해학적인 노래로, 각설이 타령 따위가 여기에 속한다.
  • : (1)조선 시대의 서이궁(西離宮). 정종이 태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자리에서 물러난 임금으로서 여기에서 기거하였으며, 세종도 문종에게 정치를 맡기고 이곳에서 기거하였다. 지금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에 있었다.
  • : (1)석유갱의 산(酸) 처리를 하기 전에 짙은 염산을 물로 희석하는 일.
  • 원소 : (1)산출량이 비교적 적은 원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 희유기체, 희토류 원소, 백금속 원소, 우라늄 따위가 있다.
  • : (1)중국 후한(後漢)의 가방(賈魴)이 편찬한 자서(字書). 훈(訓)으로 편차(篇次)하였으며, ‘방희’ 두 글자로 끝나는 것에서 유래한다.
  • 귀견 : (1)드물어서 특이하거나 매우 귀한 개.
  • 이금 : (1)대중 가수(1950~2007). 본명은 대금(大錦). 주로 1960년대에 활동하였으며 최초의 댄스 가수로 기록되어 있다. 대표곡으로는 <키다리 미스터 김>이 있다.
  • 곡집 : (1)희곡을 모아서 엮은 책.
  • 반선 : (1)민속놀이의 하나. 또는 그 놀이 기구. 큰 나무의 가지나, 두 기둥 사이로 가로지른 막대에 두 가닥의 줄을 매어 늘이고, 줄의 맨 아래에 밑싣개를 걸쳐 놓고 올라서서 몸을 움직여 앞뒤로 왔다 갔다 하면서 논다.
  • : (1)비극적이면서도 희극적인 연극. 비극의 절정에서 행복한 장면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바뀌어 막을 내리는 특징이 있다.
  • 손소 : (1)소설가(1917~1986). 인물의 심리를 묘사하는 데에 뛰어났다. 작품에 <이라기(梨羅記)>, <창포 필 무렵>, <그날의 햇빛은> 따위가 있다.
  • 서화 : (1)정월 대보름의 전날에 논둑이나 밭둑에 불을 붙이고 돌아다니며 노는 놀이. 특히, 밤에 아이들이 기다란 막대기나 줄에 불을 달고 빙빙 돌리며 노는 것을 이른다.
  • 묽다 : (1)얼굴이 희고 보기에 여무지지 못하다. (2)허연빛을 띠며 멀겋다.
  • : (1)마음을 기쁘게 하는 세 가지 소리. 다듬이 소리, 글 읽는 소리, 갓난아이 우는 소리를 이른다.
  • 랍어 : (1)인도ㆍ유럽 어족에 속한 언어의 하나. 그리스 본토와 터키, 알바니아 등지에 사는 그리스 사람들이 쓴다.
  • 번득 : (1)눈을 크게 뜨고 흰자위를 한 번 번득 움직이는 모양. (2)물고기 따위가 몸을 젖히며 한 번 번득하는 모양.
  • 귀물 : (1)드물어서 특이하거나 매우 귀한 물건.
  • 손병 : (1)항일 독립운동가(1861~1922). 자는 응구(應九)ㆍ규동(奎東). 호는 의암(義菴). 1882년 천도교에 입교하여 1887년에 제3대 대도주(大道主)가 되었다. 3ㆍ1 운동 때는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이었다.
  • : (1)‘가회톱’의 옛말.
  • 신정 : (1)조선 고종 때의 장군(1833~1895). 자는 중원(中元). 호는 향농(香農). 어영대장, 독판내무부사를 거쳐 통위사를 지냈다. 편서(編書)에 ≪훈련도감중기(訓練都監重記)≫가 있다.
  • : (1)강원도 정선군 동면과 임계면 사이에 있는 산. 태백산맥에 속하며, 한강의 지류인 송천이 시작하는 곳이다. 높이는 1,083미터.
  • : (1)조선 후기의 가객(?~?). 자는 명유(明裕). ≪청구영언≫에 시조 14수가 전한다.
  • 극적 : (1)희극의 요소를 가진. 또는 그런 것. (2)우스꽝스럽고 꼴불견인. 또는 그런 것.
  • 상가 : (1)중국 명나라 말기ㆍ청나라 초기의 무장(武將)(1604~1676). 명나라 때에는 광록도(廣鹿島) 부장(副將)이 되었다가 후에 청나라에 귀순하여 총병관(總兵官)을 수여받고, 이자성의 난을 정벌하여 평남왕(平南王)에 봉하여졌다.
  • 공랑 : (1)조선 시대에 둔, 정칠품 토관직 문관의 품계.
  • 엿이 : (1)빛깔이 조금 흰 듯하게.
  • 사봉 : (1)함경남도 북청군과 풍산군 사이에 있는 산. 2,000미터 안팎의 고봉이 몇 개 이어져 있다. 이 중 최고봉의 높이는 2,117미터이다.
  • 푸릇 : (1)흰색을 띠면서 푸릇한 모양.
  • : (1)조선 세조 때의 문신ㆍ서화가(1417~1464). 자는 경우(景愚). 호는 인재(仁齋). 집현전 직제학, 인수 부윤(仁壽府尹) 따위를 지냈다. 당시에 시(詩)ㆍ서(書)ㆍ화(畫)의 삼절(三絕)로 이름이 높았으며, 북송의 화풍을 이어받았다. 작품에 <산수인물도> 따위가 있다.
  • 가자 : (1)1910년 이후 재래 민요를 기초로 하여 가요, 만담, 경극의 형식을 혼합하여 만든 새로운 형식의 타이완 대중 연극.
  • 백설 : (1)대중 가수(1927~2010). 본명은 김희숙(金姬淑). 서울 출신으로, 1943년 조선 악극단 소속으로 데뷔하여 활동했다. 1996년 한국 방송(KBS) 가요 대상 공로상을 수상하였으며, 2010년 대한민국 연예 예술상 특별 공로상을 수상했다. 1990년대에는 한국 전쟁 당시 전선을 돌며 위문 공연을 한 공로로 국가 유공자에 선정되었다.
  • : (1)조선 시대에, 태조ㆍ세조ㆍ원종ㆍ숙종ㆍ영조ㆍ순조의 영정을 모셨던 전각. 남별전(南別殿)을 고친 것이다.
  • 구서 : (1)후세에 남아 전하는 것이 매우 드문 책.
  • 마두 : (1)여러 사람이 편을 갈라서, 굵은 밧줄을 마주 잡고 당겨서 승부를 겨루는 놀이.
  • 최은 : (1)언론인(1904~1984). ≪조선일보≫의 기자ㆍ학예부장을 지내고 여권 실천 운동자 클럽 회장, 대한 부인회 부회장, 3ㆍ1 운동 여성 참가자 봉사회장을 역임하였다.
  • 곡론 : (1)희곡에 관한 이론.
  • 열감 : (1)기쁘고 즐거운 감정.
  • 무로 : (1)검정과 초록의 중간색.
  • 망성 : (1)앞일에 대하여 어떤 기대를 가지고 바라는 성질.
  • 번덕 : (1)‘희번덕거리다’의 어근. (2)눈을 크게 뜨고 흰자위를 한 번 번득 움직이는 모양. (3)물고기 따위가 몸을 젖히며 한 번 번득하는 모양.
  • 상봉 : (1)함경남도 갑산군에 있는 산. 높이는 1,585미터.
  • 괴뢰 : (1)우리나라의 민속 인형극. 홍동지, 박첨지 따위의 여러 가지 인형을 무대 위에 번갈아 내세우며 무대 뒤에서 조종하고 그 인형의 동작에 맞추어 조종자가 말을 한다.
  • 롱수 : (1)다른 사람과 더불어 실없는 말이나 행동을 함.
  • 랍인 : (1)코카서스의 지중해 인종에 속하는 종족. 오늘날의 그리스를 중심으로 분포하며 대부분이 그리스 정교를 믿는다. 머리는 단두(短頭)이고 언어는 아리안 어계(Aryan語系)에 속한다.
  • 송이 : (1)아가리쿠스버섯의 생약명. 식용하거나 암 치료에 쓰인다.
  • 처용 : (1)궁중의 연희 때와 세모(歲暮)에 역귀를 쫓는 의식 뒤에 추던 향악의 춤. 파랑ㆍ노랑ㆍ빨강ㆍ하양ㆍ검정의 옷을 입은 다섯 무동이 각기 처용의 탈을 쓰고 다섯 방위로 벌여 서서 여러 장면으로 바꾸어 가며 춤을 추는데, 그 사이에 처용가와 봉황음을 부른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처용무’이다.
  • 조명 : (1)소설가(1894~1942). 주로 현실과 인간성의 문제를 다룬 <김영일의 사>(1920), <파사(婆娑)>(1923)와 같은 작품을 썼다. 이후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KAPF)에 가담해 대표적인 작품인 <낙동강>을 발표했다.
  • 석법 : (1)항생 물질의 최소 억제 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순차적으로 농도를 낮추어서 시험하는 방법.
  • 넙적 : (1)주로 사람의 얼굴이 허옇고 넓적한 모양. ⇒남한 규범 표기는 ‘희넓적’이다.
  • : (1)국어학자ㆍ시인(1896~1989). 호는 일석(一石). 서울 대학교 교수, 학술원 부회장 따위를 지냈다. 국어학 및 국문학 발전에 기여하였고, 특히 우리말 연구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저서에 ≪국어학 개설≫, ≪한글 맞춤법 통일안 강의≫, 작품에 시집 ≪박꽃≫ 따위가 있다.
  • 이선 : (1)소설가(1911~?). 1937년에 단편 <계산서>로 문단에 데뷔하였고 이후 신문사ㆍ잡지사 기자를 지내면서 작품을 발표하였다. 작품에 <탕자(蕩子)>, <매소부(賣笑婦)>, <여인 명령(女人命令)> 따위가 있다.
  • 안환 : (1)발해의 사신(?~?). 841년 일본에 녹사(錄事)로 대사 하복연과 동행하여 갔고, 일본으로부터 종오위하(從五位下)를 받았다.
  • 소병 : (1)매우 드물어서 치료법이 개발되지 못한 병.
  • 약마 : (1)제주도에서, 영등굿이 끝나고 영등할머니를 떠나보낼 때에 벌이던 놀이. 뗏목 위에 짚으로 작은 배를 만들어 제물을 실은 뒤 일제히 띄워 보내는데, 일 등을 차지한 뗏목은 물고기를 많이 잡게 된다고 한다. (2)음력 설날에서 정월 대보름날 사이에 제주에서 행하는 풍속의 하나. 신들을 즐겁게 할 목적으로 장대 끝에 채색 비단으로 말 머리 모양을 만들고 밤에 등불을 달고 돌아다닌다.
  • 간나 : (1)‘여자아이’를 낮잡아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계집아이’이다. (2)남자들에게 몸을 파는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갈보’이다.
  • 극물 : (1)웃음을 주조로 하여 인간과 사회의 문제점을 경쾌하고 흥미 있게 다루는 매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
  • 산류 : (1)‘묽은산’의 북한어.
  • 홍명 : (1)소설가(1888~?). 호는 벽초(碧初)ㆍ가인(可人). 신간회에 참여하였으며, 광복 후 조선 문학가 동맹 중앙 집행 위원장을 지내고 월북하였다. 저서에 ≪학창산화(學窓散話)≫, 소설 ≪임꺽정≫ 따위가 있다.
  • : (1)그림이나 자수 따위에서 쓰는 ‘囍’의 이름.
  • : (1)‘움큼’의 옛말.
  • 척사 : (1)편을 갈라 윷으로 승부를 겨루는 놀이. 둘 또는 두 편 이상의 사람이 교대로 윷을 던져서 도ㆍ개ㆍ걸ㆍ윷ㆍ모의 끗수를 가리며, 그에 따라 윷판 위에 네 개의 말을 움직여 모든 말이 먼저 최종점을 통과하는 편이 이긴다.
  • 생심 : (1)자신을 희생하는 마음.
  • 망자 : (1)어떤 것을 하기를 바라는 사람.
  • : (1)‘움키다’의 옛말.
  • : (1)구한말의 한문학자(1867~1926). 자는 주현(周賢). 호는 우당(于堂). 광무 1년(1897) 사례소(史禮所)에서 장지연과 함께 ≪대한예전(大韓禮典)≫을 편찬하고 ≪문헌비고(文獻備考)≫를 증수하였으며, 규장각에 들어가 ≪양조보감(兩朝寶鑑)≫을 지었다. 장지연, 오세창 등과 함께 ≪대동시선≫을 교열하였다. 저서에 ≪우당시문집≫이 있다.
  • 귀병 : (1)매우 드물어서 쉽게 걸리지 않는 병.
  • : (1)미나리아재빗과의 낙엽 관목.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세 장의 작은 잎으로 된 겹잎이며, 작은 잎은 달걀 모양이고 거친 톱니가 있다. 여름에 푸른색 꽃이 밀산(密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로 편평한 타원형이다. 뿌리는 약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 : (1)조선 숙종 때의 무신(?~1701). 장 희빈의 오빠로, 총융사에 올랐다. 인현 왕후가 복위되자 갖은 음모로 해하려다가 장 희빈과 함께 처형되었다.
  • 하중 : (1)대중가요 작사가(1935~2004). 전라북도 전주 출신이다. 국제 신문 가요 대상 작사 부문, 동양 방송 가요 대상 작사 부문, 1968년 대한민국 무궁화 대상 작사 부문을 수상하였고, 케이비에스(KBS) 가요 심의 위원, 공연 윤리 심의 위원회 심의 위원, 한국 음악 저작권 협회 이사, 가요 작가 협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 아리 : (1)약간 상한 채로 말라서 희끗희끗하게 얼룩이 진 고추.
  • 망적 : (1)어떤 일을 이루거나 하기를 바라는. 또는 그런 것. (2)앞으로 잘될 가능성이 있는. 또는 그런 것.
  • 목우 : (1)경상남도 영산에 전승되는 민속놀이의 하나. 나무로 소의 모양을 만들어 편을 갈라 서로 겨루어 상대편을 먼저 땅에 주저앉히는 편이 이긴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정식 명칭은 ‘영산 쇠머리대기’이다. (2)나무 인형으로 노는 인형극.
  • 멀쑥 : (1)‘희멀쑥하다’의 어근. (2)희고 멀쑥한 모양.
  • 광이 : (1)하회 별신굿 탈놀이에 나오는 백정의 탈. (2)한장군놀이에서, 얼굴에 검은 칠을 하고 패랭이를 쓰고 칼을 가지고 나오는 인물.
  • 생론 : (1)다른 사람이나 어떤 목적을 위하여 자신의 목숨, 재산, 명예, 이익 따위를 바치거나 버려야 한다는 주장.
  • 무검 : (1)정재(呈才) 때 추던 춤의 하나. 향악(鄕樂)으로, 기생 네 사람이 각각 전립(戰笠)을 쓰고 전복(戰服)을 입고 검기(劍器)를 두 손에 하나씩 들고 양편에 나누어 마주 서서 추는 춤으로, 여기에 맞는 창사(唱詞)도 딸려 있다.
  • 랍력 : (1)옛날 그리스에서 쓴 태음력. 신월(新月)의 날로부터 한 달이 시작되며 윤달을 제6월 다음에 두는 것은 유대력과 같으나, 한 해의 시초를 하지(夏至) 앞뒤에 잡는 점이 다르다. 8년법, 메톤법, 칼리포스법의 세 가지가 있다.
  • 생자 : (1)다른 사람이나 어떤 목적을 위하여 자신의 목숨, 재산, 명예, 이익 따위를 바치거나 버린 사람. 또는 그렇게 된 사람. (2)사고나 자연 재해 따위로 애석하게 목숨을 잃은 사람.
  • 화고 : (1)중국 호남, 호북, 안휘성 지역에서 북만으로 반주하며 펼치는 연극. 중화 인민 공화국의 성립 이전에는 외설적인 연극으로 분류되어 비방을 받았으나, 1951년 하동보의 공연 이후 예술적인 공연으로 승화되면서 유명해졌다.
  • 화화 : (1)어떤 인물의 외모나 성격, 또는 사건이 의도적으로 우스꽝스럽게 묘사되거나 풍자됨. 또는 그렇게 만듦.
  • : (1)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가까운 친구와 친척을 불러 베풀던 잔치.
  • : (1)중국 원나라 초기의 정치가(1231~1280). 자는 선보(善甫). 호는 야운(野雲). 시호는 문정(文正). 몽케 칸이 붕어하자 쿠빌라이에게 즉위를 권유하였다. 아릭 부케(阿里不哥) 토벌에 공을 세워 중서평장정사(中書平章政事)에 올랐다.
  • 석도 : (1)용액이 희석된 정도. 농도의 역수인 ‘mol/l’로 나타낸다. (2)방류 수량과 방류 하수량 또는 처리 수량과의 비. (3)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수로 취급하는 우수량과 하수량의 비.
  • 배우 : (1)시사적인 사건을 우스갯소리와 우스갯짓으로 표현하여 연출한 풍자적인 연극.
  • 초미 : (1)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겹잎이고 뿌리줄기에서 돌려난다. 말린 뿌리줄기는 ‘면마근’이라 하여 구충제로 사용한다. 산지의 습한 땅에서 자라는데 한국, 만주, 사할린,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규범 표기는 ‘관중’이다.
  • : (1)조선 광해군 때의 권신(1564~1623). 자는 형백(亨伯). 호는 화남(華南). 선조 30년(1597)에 별시 문과에 급제한 후, 춘추관 편수관이 되어 임진왜란 때 소실된 역대 실록을 재간하였다. 그 후 인목 대비를 폐위하자는 주장이 관철되어 권력을 잡았으나 인조 반정으로 참형되었다.
  • : (1)구한말의 서화가(1836~1909). 자는 지삼(芝三). 호는 소남(小南)ㆍ경지당(景止堂). 서예의 각체에 모두 능하였고, 그림에도 뛰어나 난초와 대나무를 잘 그렸다.
  • 나례 : (1)민가와 궁중에서, 음력 섣달 그믐날에 묵은해의 마귀와 사신을 쫓아내려고 베풀던 의식. 본디 중국에서 시작한 것으로, 새해의 악귀를 쫓을 목적으로 행하다가 차츰 중국 칙사의 영접, 왕의 행행(行幸), 인산(因山) 때 따위에도 행하였다.
  • 누름 : (1)맑지 아니한 약간 흰빛을 띠면서 조금 누런 모양.
  • 극 좌 : (1)최독견을 대표로 하여 1936년 3월 동양 극장 전속으로 발족한 극단. <급성 연애병>, <흥부전> 따위를 공연했으며, 1936년 9월에 호화선이 발족하면서 ‘동극 좌(東劇座)’와 함께 호화선에 흡수되었다.
  • : (1)조선 선조 때의 무신(?~?). 자는 신중(信中). 이순신 밑에서 종군하였으며, 1598년에 노량 싸움에서 명나라의 도독 진린(陳璘)을 구출하였다. 뒤에 전라좌도 수군절도사를 지냈다.
  • 김돈 : (1)서예가(1871~1937). 자는 공숙(公叔). 호는 성당(惺堂). 안진경, 황정견의 글씨를 배워 예서(隷書)에서 일가를 이루었다. 상서회(尙書會)를 조직하여 서법 연구 및 후진 양성에 힘썼다.
2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8개) : 하, 학, 한, 할, 핡, 함, 합, 핫, 항, 해, 핵, 핸, 햄, 햇, 행, 향, 허, 헉, 헌, 헐, 험, 헛, 헝, 헤, 헥, 헬, 헴, 헵, 헷, 헹, 혀, 혁, 현, 혈, 혐, 협, 형, 혜, 혬, 호, 혹, 혼, 홀, 홈, 홉, 홍, 홑, 화, 확, 환, 활, 황, 홰, 홱, 횅, 회, 획, 횟, 횡, 효, 후, 훅, 훈, 훌, 훍, 훔, 훗, 훙, 훠, 훤, 훨, 훰, 훼, 휀, 휑, 휘, 휙, 휠, 휨, 휭, 휴, 흄, 흉, 흐, 흑, 흔, 흘, 흙, 흠, 흥, 흨, 희, 힁, 히, 힐, 힘, 힝, 힠

실전 끝말 잇기

희로 시작하는 단어 (686개) : 희, 희가극, 희가극 전화, 희가스, 희가스류 원소, 희각분, 희갈색, 희강왕, 희강왕릉, 희견궁, 희견성, 희견성천, 희견천, 희경, 희고 곰팡이 슬다, 희곡, 희곡계, 희곡론, 희곡 무가, 희곡 민요, 희곡사, 희곡의 플롯, 희곡 작가, 희곡적, 희곡집, 희곡화, 희곡화되다, 희곡화하다, 희곰하다, 희공랑 ...
희로 시작하는 단어는 686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희를 포함하는 세 글자 단어는 339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